[행크&장석기의 하이!타이거] 오버 더 톱으로 인한 슬라이스의 방지
백스윙 때 안쪽으로 위로. 그리고 어깨 넘어로 연결되는 ‘아웃-투-인’의 스윙 통로는 클럽을 가파르게 내릴 수밖에 없는 또 다른 경로다. 사실 그건 업 라이트한 스윙에 대한 ‘과민 반응’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파른 다운스윙을 방지한다는 잘못된 생각과 시도로 백스윙에서 클럽을 안쪽으로 잡아당겨 좀더 플랫한 플레인에 올려놓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처럼 안쪽으로의 움직임은 백스윙의 정점까지 클럽을 들어 올리게 되고. 다운스윙에서는 더욱 더 스티프하게 직선적으로 스윙하게 된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역루프(Reverse loop)를 시도하는 것이다. 즉 플랫한 스윙 구조를 만드는 방법의 순서가 다르다는 얘기다.
다시말해 <사진1>처럼 테이크 어웨이에서 클럽을 몸으로부터 멀리 바깥 쪽으로 위로하여 좀더 플랫하게 정점에 이르게 해야 한다. 다운스윙에서도 <사진2>와 같이 클럽을 안쪽으로 약간 플랫하게 떨어 트린다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8자 형태로 스윙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가파른 다운스윙을 방지한다는 잘못된 생각과 시도로 백스윙에서 클럽을 안쪽으로 잡아당겨 좀더 플랫한 플레인에 올려놓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처럼 안쪽으로의 움직임은 백스윙의 정점까지 클럽을 들어 올리게 되고. 다운스윙에서는 더욱 더 스티프하게 직선적으로 스윙하게 된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역루프(Reverse loop)를 시도하는 것이다. 즉 플랫한 스윙 구조를 만드는 방법의 순서가 다르다는 얘기다.
다시말해 <사진1>처럼 테이크 어웨이에서 클럽을 몸으로부터 멀리 바깥 쪽으로 위로하여 좀더 플랫하게 정점에 이르게 해야 한다. 다운스윙에서도 <사진2>와 같이 클럽을 안쪽으로 약간 플랫하게 떨어 트린다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8자 형태로 스윙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백스윙에서 왼팔뚝을 좀더 위로 플랫하게 회전시키고. 다운스윙에서도 완만하게 경사를 유지해야 한다. 일단 볼이 목표의 오른쪽으로 비행을 시작 할수 있도록 ‘아웃-투-인’의 궤도를 드로 샷의 근간인 ‘인-투-아웃’로 스윙 통로를 바꾸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곧 훅을 낼 수 있게 된다. 스윙할 때는 어깨와 팔이 회전되는 것을 느껴야 하고. 클럽 페이스가 열리고 닫히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출처 : 달콤 살벌한 골프
글쓴이 : 안졸리나몰라 원글보기
메모 :
'골프 > 레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윙,어떻게 해야 나에게 정석일까 (0) | 2013.03.13 |
---|---|
[스크랩] 풀샷 해결하기. (0) | 2013.03.13 |
[스크랩] 슬라이스와 그 치유법 (0) | 2013.03.13 |
[스크랩] 고질적인 가파른 스윙 궤도 (0) | 2013.03.13 |
[스크랩] 왼손목의 커핑에 따른 슬라이스와 그 치유법 (0) | 201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