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고질적인 가파른 스윙 궤도
머릿속에 온 플레인 스윙의 개념이 확실하게 서게 되면 자신의 클럽이 너무 가파른지 아니면 너무 완만한지 스스로 알게 된다. 거울 앞에 서서 클럽이 정상적인 플레인 위에 있는지 아니면 밑에 있는지 분석한다. 만일 슬라이스가 나고 뒤땅을 깊게 때리고 드라이버샷이 위로 솟구치고 토우 샷이 난다면 그것은 분명 스윙 플레인이 너무 가파른 것이다. 그리고 훅이 나고 힐샷이 나고 엷은 샷이 난다면 그것은 분명 다운스윙 플레인이 너무 완만한 것이다. 만약 스윙이 너무 가파르다면 먼저 백스윙을 관찰해 봐야 한다.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모두 가파른지? 백스윙은 완만하고 다운스윙이 가파른지?아니면 백스윙은 온 플레인이고 다운스윙이 가파른지를 잘 살펴 봐야한다.
대개의 경우 가파름은 〈사진1>처럼 완만한 백스윙으로 인하여 〈사진2>처럼 다운스윙 초기에 발생한다. 결과는 다운스윙에서 클럽이 어드레스 때 정립된 스윙 플레인 위에서 너무 가파르게 볼 위로 근접하게 되어 일생동안 슬라이스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좌우간 스윙을 왼쪽으로 하게 되는 "밖에서 안으로의 스윙 궤도"는 많은 문제를 안게 되고 많은 시간을 빼앗아 가버린다. 이런 스윙 궤도는 어깨가 다운스윙을 리드하게 되면서 클럽 헤드를 목표선 밖으로 던져 버리게 되어 클럽 헤드가 볼 위로 너무 가파르게 스윙되어 내려오기 때문에 천부적인 재능을 갖고 있지 않는 한 손을 아주 빠르게 쓸 수가 없어 클럽 페이스를 스퀘어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게 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사이드 스핀'을 볼에 부과하게 된다.
반면에 〈사진3>처럼 감김이 제대로 된 보다 더 큰 어깨의 회전과 더불어 좀 더 넓은 폭의 아크를 몸 앞에 형성케 되면 이 문제는 아주 쉽게 해결된다.
짧은 아이언은 볼이 먼저 맞으면서 잔디가 많이 파이기 때문에 볼을 트랩(Trap)한다고 하고 중간 사이즈의 아이언은 볼이 먼저 맞지만 잔디가 엷고 길게 파이기 때문에 볼을 핀치(Pinch)한다고 한다.
그러나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는 헤드가 지면과 평행이 되는 지점을 통과하자마자 올라가는 시점에서 볼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볼을 스윕(Sweep)한다고 한다. 쓸어버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아이언 샷은 볼을 어느 정도 내려쳐야 하기 때문에 디센딩 불로우(Descending Blow)라 하고 드라이버는 볼을 어느 정도 올려쳐야 하기 때문에 어센딩 불로우(Ascending Blow)라고 한다.
그러나 밖에서 안으로의 '스윙 궤도'에서 클럽 페이스가 볼에 스퀘어 된다면 볼은 목표의 왼쪽을 향하여 똑바로 날아가는 '풀'이 된다. 끝으로 슬라이스가 나는 단 한가지 이유는 임팩트 시 클럽 페이스가 오픈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