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유용한 상식

[스크랩] 설날축문-아버님만 돌아가셨을때

홀인원 또 2013. 7. 3. 15:51

무축단잔(無祝單盞) 또는 무축단배(無祝單拜)라 하여  차례때에는 축문이 없다고 하지만 형편에 따라

독축하는것도 좋을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饗                                      顯                         維

                         祗       昊       歲       考       元       歲

                         薦       天       律       學       旦       次

                         歲       罔       旣       生                 檀

                         事       極       更       府       孝       紀

                                                       君       子       四

                         尙       勤       追                 0        千

                                   以       遠                 0        三

                                   淸       感                 敢       百

                                   酌       時                 昭       四

                                   庶                           告       十

                                   羞                           于       五

                                                                           年

 

 

보통 설날에는 축문을 안써도 되는줄 알고있지만
원래는 써야한다.

 

그 이유는 축문이란 오늘 무슨연고(설날이라서) 누구누구가(아들 또는 손자가) 누구에게(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에게) 무었을 음식을 차렸으니 잘 들고 가시라는 말이다.

 
축문을 안쓰면 조상님께서 먹어도 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아래는 설날 축문의 예시이다.

설날 祝文

유세차(維歲次)
- 이제

단군기원(檀君紀元) 사천삼백사십이년(四千三百四十二年) 설날
- 단기4342년 설날을 맞이하여

효자(孝子) 두년(斗年) 감소고우(敢昭告于), 현고학생부군(顯考學生府君)
- 아들 두년은 감히 아버님 영전에 감히 밝혀 아뢰나이다.
 * 손자이면 효자 대신 효손으로,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이면, 현고학생부군대신에 현조고학생부분,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 oo씨 신위 와 같이 지방에 쓴대로 차례대로 적는다.


세율기경(歲律旣更), 추원감시(追遠感時), 호천망극(昊天罔極)
- 계절이 바뀌어 이미 햇수를 고쳤으니,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새롭게 슬픈마음 하늘과 같아 끝간 데를 모르겠나이다.


근이(勤以) 청작서수(淸酌庶羞) 지천세사(祗薦歲事)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상향(尙饗)        
-어여삐 여겨 흠향 하시옵소서

출처 : 한사람의 노래
글쓴이 : 한사람 원글보기
메모 :

'골프 > 유용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진설법. 차례상  (0) 2013.07.03